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

빅데이터의 개요 빅데이터란 각종 센서 등을 이용해 측정되어 빠른 속도로 축적되고 있는, 크고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빠르게 생산, 유통, 소비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빅데이터의 예로는 다양한 사회관계망서비스 데이터, 검색 데이터, 건강 데이터, 사진, 동영상 등이 있는데, 빅데이터의 핵심은 이로부터 의미 있는 지식과 지혜를 만드는 데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로부터 지식과 지혜를 만들어 가는 과정인 지식 피라미드를 설명하기로 한다. 지식 피라미드란 DIKW피라미드라고도 불린다. D는 데이터, I는 정보, K는 지식, W는 지혜를 의미한다. 이 지식 피라미드를 통해 우리는 데이터가 어떻게 축적되어서 우리에게 새로운 통찰을 주는지 배울 수 있다. 피라미드의 가장 아래에 있는 데이터는 가장 객관적인 사실이다. 데이터만으로는 의미.. 2024. 1. 15.
파일 처리 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파일 처리 시스템이란 업무별 애플리케이션이 개별 데이터를 데이터 파일에 저장 및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① 데이터 종속의 문제, ② 데이터 중복의 문제, ③ 무결성 훼손의 문제, ④ 동시 접근의 문제점이 있다. 데이터 종속의 문제란 저장된 데이터가 특정 하드웨어 또는 사용자 및 소프트웨어만 사용되도록 제한되는 문제를 의미한다. 데이터의 독립성은 물리적 데이터 종속(물리적인 시스템 구조가 변경되더라도 프로그램은 그대로 유지되는 것)과 논리적 데이터 종속(데이터의 논리적 구조가 변하더라도 프로그램의 구조가 변하지 않는 것)으로 나누어지는데, 파일 처리 시스템의 경우 프로그램에 종속되는 파일이 생성되므로 다른 프로그램과의 데이터 공유도 불가능하고, 데이터 구조의 변경이 프로그램의 변경으로 이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2024. 1. 14.
4차 산업혁명과 미래 4차 산업혁명은 클라우스 슈밥이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 주장한 개념으로 정보통신기술의 융합으로 이루어지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1차 산업혁명은 증기기관 기반의 기계화 혁명, 2차 산업혁명은 전기 에너지 기반의 대량생산 혁명, 3차 산업혁명은 컴퓨터와 인터넷 기반의 지식정보 혁명이었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은 다른 개념이다. 3차 산업혁명과 4차 산업혁명 사이에 등장한 지능정보 기술, 즉 지능에 해당하는 인공지능과 소프트웨어, 그리고 정보에 해당하는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클라우드의 발전으로 인해 생긴 혁명이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로봇공학, 사물인터넷, 무인 운송 수단, 3D 프린팅, 나노 기술과 같은 7대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 혁신이다. 4차 .. 2024. 1. 14.
컴퓨터의 소프트웨어와 정보 시스템 컴퓨터 시스템은 크게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나누어지는데, 이전 포스팅까지는 하드웨어를 위주로 살펴보았다. 하드웨어란 입력, 연산, 제어, 기억, 출력 등 다섯 가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중앙 처리 장치, 컴퓨터 기억 장치와 같은 컴퓨터의 물리적 부품을 의미한다. 반면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에게 동작 방법을 지시하는 명령어의 모음을 의미한다. 소프트웨어의 분류로는 프로그램 소프트웨어와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하드웨어에 직접 명령어를 주거나 다른 소프트웨어에 입력을 제공하는 명령어 기능을 수행한다.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처럼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개념이 아니다. 따라서 컴퓨터의 저장장치로 불러와야 한다. 그 경우에만 소프트웨어가 실행된다. 소프트웨어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로 .. 2024.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