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

데이터베이스의 이해 정보통신 기술이 발달한 현대 사회에서 대부분의 서비스는 기존에 누적된 대량의 데이터에 기반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이 반드시 필요하다. 데이터베이스는 단순히 사용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고, 기본적인 특징 및 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효율적으로 사용할 때 그 진가를 드러낸다. 데이터베이스의 이해를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기존 데이터를 축적하던 파일 처리 시스템과의 차이점,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구조적 특성과 다양한 데이터 모델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그다음 데이터베이스의 각 구성요소와 기능 등에 대해 이해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는 위에서 언급한 대량의 데이터 누적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가 등장함에 따라 같이 태동하였다. 새로운.. 2024. 2. 1.
클라우드 아키텍처 클라우드 아키텍처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비스가 안정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정보 서비스 대상과 리스크를 분석하고 IT 리소스를 적절하게 배치한 설계를 통해 정보 서비스 제공에 적합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클라우드 아키텍처링은 크게 두 가지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로는 비즈니스 전략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여 아키텍처를 설계하는 과정이고, 두 번째는 리스크 관리를 기반으로 서비스 가용성 향상을 목표로 클라우드 아키텍처를 발전시켜 나가는 과정이다. 클라우드 아키텍처 일반론에 대해 먼저 살펴보자. 클라우드 아키텍처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가 달성하고자 하는 본래의 목적을 만족시키면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가 예상하지 못한 변화를 마주했을 때 적절하게 대응을 통해서 클라우드 서비스의 .. 2024. 1. 25.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2) 네트워크 가상화 저번 포스팅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기술 중 가상화 기술, 인프라 구성, 서버 가상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번에 이어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기술 중 네트워크 가상화에 대해 살펴본다.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은 네트워크상의 물리적 동질성을 논리적으로 분할하고 동일한 목적을 갖는 시스템을 여러 네트워크로 분할하여 네트워크 관리 및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네트워크 가상화는 하나의 네트워크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하나의 네트워크가 아니라 여러 개의 네트워크가 있는 것처럼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상 머신의 네트워크 통신을 하나의 물리 네트워크로 집약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네트워크를 구성한 후에 가상 머신을 그 위에 배치하면 클라우.. 2024. 1. 25.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1) 가상화 기술, 인프라 구성, 서버 가상화 이번 포스팅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기술, 즉 클라우드 컴퓨팅이 IT 리소스를 서비스화하여 사용자에게 탄력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반 기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그 기술 중에서도 가상화 기술, 인프라 구성, 서버 가상화를 살펴본다. 먼저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 전, 한국 클라우드 컴퓨팅 연구조합이 2017년 정의한 클라우드 컴퓨팅의 5가지 영역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자. 첫 번째 영역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사'이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사는 SaaS, PaaS, IaaS 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제공한다. 두 번째로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브로커리지'가 있다. 이 모델은 다수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연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최.. 2024. 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