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M2 컴퓨터의 보조기억장치 이번 포스팅에서는 컴퓨터의 보조기억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가장 고전적인 보조기억장치인 자기 테이프는 1928년 독일의 프리츠 플로이머가 개발한 보조기억장치로 플라스틱 테이프 겉에 산화철 등의 자성 재료를 바른 테이프이다. 주로 오디오, 비디오를 기록하는 데에 쓰인다. 순차 접근만 가능한 기억장치이며, 속도가 느리지만 그 대신 가격이 저렴하고 용량이 큰 까닭에 대용량의 데이터 백업을 위해 주로 사용된다. 자기디스크는 자기테이프와 같이 기록장치의 물리적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읽고 쓰는 순차접근 방식이 아니라, 원하는 위치를 지정하면 직접 그 위치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는 직접 접근 기억장치이다. 1956년 최초로 IBM사에 의해서 발명되었다. 자기디스크는 회전 모터가 있고, 디스크 표면의.. 2024. 1. 14. 컴퓨터의 처리장치 컴퓨터의 핵심은 처리 장치이다. 데이터 처리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이다. 처리장치는 크게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로, 중앙처리장치는 다시 제어장치와 산술논리연산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중앙 처리 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을 통제하고 프로그램의 연산을 실행 · 처리한다.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고, 기억한 후에 그 정보를 처리하라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해석하여 연산(처리)하고 마지막으로 외부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중앙 처리 장치의 역할이다. 이를 짧게 요약하면 중앙처리장치는 기계어로 쓰인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해석하여 실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통상 컴퓨터 과학자들은 컴퓨터를 두뇌로 표현하는데, 이는 컴퓨터의 모든 처리 과정이 중앙.. 2024. 1. 14. 이전 1 다음